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칼럼]청소년은 누구인가?

칼럼니스트 권일남 | 입력 : 2019/03/04 [15:09]

최근 넘쳐나는 청소년들의 부적응행위에 우려를 나타내며 대책의 적극성을 촉구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사회부적응행동과 일탈은 전체 범죄인원 중 약 4%에 불과하나 때론 과격하고 흉포한 점도 있지만 낮아지는 범죄연령에 비해 처벌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사회적 비판이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청소년정책은 주로 비행과 일탈을 방지하는 요보호청소년대책에서부터 출발을 하였기에 청소년을 문제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이 매우 익숙하다. 


물론 문제를 일으킨 이들의 처벌과 규제가 현실화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관심을 갖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


청소년은 어떠한 존재인가? 이들은 분명 생애주기의 관점에서 변화와 격동의 시기에 처해 있다. 


기성세대가 말하는 미래의 준비, 보다 나은 직업의 선택 등과 같은 담론이 마음에 와 닿기보다는 지금 현재 처한 상태와 조건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어른과 청소년들의 생각과 관점에 대한 요구격차가 매우 크다. 


어찌 보면 청소년들은 부조화를 경험하면서 조화의 영역으로 가는 과도기의 사람들이다. 뭔가 어설프고 채워지지 않은 이들임에도 어른들은 채워졌다고 믿는다.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관계에서 부조화가 더 앞서있기에 변화를 채워 나가려는 행동이 먼저 나타나는 이들이다. 그래서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외형적으로 청소년들은 성숙한 모습이지만, 때론 인지와 정서 상태를 조절하기 어려운 불균형의 대상들이다. 


감정의 혼란이 크고, 조절이 어려우며, 단편적인 지식에 매몰되어 긍정과 부정이 공존하는 판단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어른들은 청소년에 대해 긍정성보다는 문제의식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신이 겪은 청소년기를 미화시키고 지나간 과거의 경험을 배경으로 삼아 지금의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어려움과 정서적 혼란의 깊숙한 의미를 찾기보다는 문제행동지향성에 비난과 지적의 목소리를 높인다. 


청소년들은 지금의 심리적, 신체적, 정서적 변화를 겪으면서 동시에 미래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결해야 하는 특별한 대상들이다. 


또한 성숙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대상이며, 성인기 자아실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등을 혼란스럽지만 맞추어 가는 대상들이다. 


그래서 자신보다는 타인의 우월성을 더 선호하거나 친구, 아이돌 등의 비주얼 특성에 몰입함을 당연시 한다. 


또 청소년기가 되면 신체의 분화와 함께 성적 에너지가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자신보다 나은 대상을 찾아 영웅시하려는 경향이 커진다. 

그래서 청소년기는 개인적 우화와 상상적 청중에 빠지는 특별한 존재가 된다. 

즉 자신의 멋에 살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라면 앞뒤 가리지 않는 속성이 강하다고 말이다.


이러한 청소년의 특성을 모르면 행동주의적 시각에 초점을 맞추는 게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여기에는 청소년은 청소년다워야 한다는 전통적인 보호와 복지중심의 관리형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 


청소년기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시기다. 오히려 미래세대로 자라나기 위한 청소년들의 지원에 더 큰 관심을 갖고자 올바른 청소년기의 이해를 우선시하는 준비가 먼저 필요하다.


청소년이 버릇이 없다는 말은 이미 인류의 역사와 함께 고대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그만큼 문제의 지적은 쉽지만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청소년이 부적응행태를 보이는 행위의 지적을 논하기에 앞서 어떻게 하면 이들을 이해하고 이들의 마음과 공감을 얻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자세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최소한 대화를 하면서 내려 보고 있는지 아님 같은 높이에서 맞추어보고 있는지부터 출발해 보자.


/디컬쳐 칼럼니스트 권일남(명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외부 필자의 글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포토뉴스
이동
메인사진
(포토)최강창민, 뮤지컬 배우 데뷔…화보공개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