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미리보기]우리는 과연 나치와 다른가?

영화 <존 오브 인터레이스>

이경헌 기자 | 입력 : 2024/05/27 [16:54]


상당히 긴 시간 화면에 아무것도 안 나온 채로 웅장한 경음악만 흐르다가 한 군인 가족이 호수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 후, 집에 돌아와 각자의 삶을 사는 모습을 긴 시간을 할애해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대사는 거의 없다.

 

집 주인인 소장(所長)의 생일을 맞아 군인들이 대거 놀러 와 같이 승마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

 

평온해 보이지만 사실 소장이 사는 집 바로 옆은 아우슈비츠 수용소다. 그래서 집의 경관을 위해 포도도 심고, 라일락도 심어서 수용소가 최대한 보이지 않게 해뒀다.

 

그런 가운데 루돌프 소장에게 전출 명령이 떨어지자, 아내는 낙원 같은 이곳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에 왜 이제야 말하느냐며 화를 낸다.

 

이에 루돌프는 히틀러 총통에게 전화라도 하라는 소리나며 답답해 한다.

 

결국 둘은 루돌프가 전출 가더라도 가족들은 계속 이곳에 사는 것으로 상부에 얘기로 보기로 한다.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는 홀로코스트 영화다. 그러나 유대인은 영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간간히 비명소리가 들리긴 하지만, 화면에 직접적으로 보여주진 않는다.

 

유대인 수용소인 아우슈비츠의 소장 가족은 너무나 평범하고, 평온한 삶을 산다.

 

그들이 사는 집 바로 옆이 아우슈비츠라는 사실이 밝혀지기 전까진 관객이 그들의 존재를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우리의 삶과 닮아있다.

 

하지만, 소장이 군 계급인 소장(少將)이 아닌 유대인 수용소의 소장(所長)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후부턴 참 불편하다.

 

바로 옆에선 비명소리가 들리는데 자기들은 정원에 꽃이나 가꾸고, 동료들과 파티나 하면서 너무도 아무렇지 않게 일상을 사는 모습이 악마 같다고 느껴진다.

 

그렇다고 이 영화가 히틀러와 그 졸개들을 찬양하기 위해 만든 영화는 아니다.

 

화면에 고통받는 유대인의 모습은 등장하지 않지만, 너무도 태연하게 아무렇지 않은 삶을 사는 나치 친위대(SS) 대원들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그들이 얼마나 극악무도한 놈들인지 부각한다.

 

이에 대해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전의 영화와 달리, 가해자들과 우리가 비슷한 점이 뭔지 바라보게 하고자 했다며, “가해자들의 모습을 통해 어느 정도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게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즉, 우리와 다를 것 없어 보이는 나치 친위대원들의 삶을 보면서, 우리는 과연 그들과 다른가 되돌아보게 하려 했다는 것.

 

전쟁으로 자기 나라에서 살 수 없어 먼 이국 땅에 와 난민 신청을 했으나, 그들의 종교를 내세워 ‘위험한 자들’이라며 입국 자체를 불허하는 우리의 태도는 과연 나치와 다르다고 할 수 있을까?

 

영화 <존 오브 인터레이스>는 내달 5일 개봉한다.

 

/디컬쳐 이경헌 기자

 
포토뉴스
이동
메인사진
(포토)부산국제영화제 기다리는 사람들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