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미리보기]음모론인지 팩트인지 보면 안다

영화 <그 날, 바다>

박선영 기자 | 입력 : 2018/04/12 [15:43]

 

영화 <그 날, 바다>는 4년 전 침몰한 세월호의 침몰 원인을 과학적 방법으로 접근한 다큐멘터리 영화다.

 

배우 정우성의 노개런티 내레이션으로 화재가 되기도 했던 <그 날, 바다>는 유가족과, 가족,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한 수많은 시민의 결실이다.

 

4년간의 제작과 준비로 공개된 <그 날, 바다>는 세월호의 당시 항로를 기록한 AIS(선박자동식별장치) 항적자료의 집요한 추적을 통해 정부 발표와 다른 가설을 제시한다.

 

김어준은 세월호가 출발해 침몰하는 순간까지만 추적한 이유를 “데이터 과학과 생존자의 진술만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점까지만 구성하자. 그 다음은 국가기관이 할 일”이라고 말하며, “가설에서 새로운 출발이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김지영 감독은 2년반 동안 AIS를 프로그래밍 할 수 있을 정도로 분석을 했으며, 데이터 분실을 염려해 집에 간 적이 없다고 했다.

 

누군가 들어와서 장비를 망가뜨려, 금고에 자료를 보관할 정도로 어려운 여정이었다.

 

<그 날, 바다>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생존자들의 증언을 더해 완벽한 가설을 제시한다.

 

처음 정부 발표와 다른 자료들은 더욱 그 의혹을 증폭 시킨다. 아직도 관련 내용에 대한 음모론이 나오고 있다.

 

음모론인지 팩트인지 다큐멘터리를 보고 말하자. 또한, 과연 처음부터 진실을 은폐하려고 한 이유에 대해 우리는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다큐멘터리 <그 날, 바다>는 12일 개봉했으며, 이로 인해 세월호 침몰 진실에 한 발짝 더 다가간 계기가 되길 바란다.

 

/디컬쳐 박선영 기자

이 기사 좋아요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우리의 하트를 받아랏!
메인사진
(포토)꽃 구경 나온 노인들
메인사진
(포토)누가 왕을 잡을 것인가?
메인사진
(포토)티니핑이 나타났다!
메인사진
(포토)엘라스트, 캐주얼한 모습 공개
메인사진
(포토)고양국제꽃박람회, 장애인도 같이 즐겨요
광고
광고